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애착안정성 진단을 위한 투사검사 - 새둥지화(Birds Nest Drawing; BND)

찬양한 2012. 8. 29. 13:58

애착안정성 진단을 위한 투사검사 - 새둥지화(Birds Nest Drawing; BND)

새둥지화는 Kaiser(1996)의 연구에서 애착안정성의 유용한 임상적 진단도구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애착이론의 창시자인 J. Bowlby에 의하면 다른사람과의 친밀한 애착은

개인의 전 인생에 걸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사람은

단지 유아기, 아동기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성인기, 노년기까지도

이러한 친밀한 애착에 의거하여 자신의 장점과 생의 기쁨을 끌어내고

자신의 공헌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좋은점과 즐거움을 준다고 한다.

이러한 친밀한 애착은 유아초기의 주 양육자와의 애착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주 양육자와의 애착형성은 아동발달에 발판 노릇을 한다.

이 안정 애착을 통해 아동들은 감정을 조절하고, 스스로 위로하는 것을 학습하게 되며, 그리고 이러한 애착관계를 통해서 다른 사람과 관계하는 것을 학습한다. (James, 1994)


- 지시어: "새둥지를 그리세요" 

-  준비물: A4 용지,  4B연필 

-  실시시간: 충분한 시간


Kaiesr의 애착지표와 채점 준거 

-둥지의 담는 기능  

1. 내용(contents)

   -둥지에는 내용물이 있는가? 

2. 나무(tree)

   -둥지는 나무에 의해 지지 받고 있는가? 

3. 바닥(bottom)

   -둥지에는 바닥이 있는가?

4. 담을 가능성(able to contain)

   -어떤 내용물이 들어있든 떨어지지 않도록 둥지는 기울지 않는가?

-정신건강/병리학 관련 요소

 5. 공간(space) 사용 

   -종이를 1/3 이상 사용하였는가? 

 6. 배치(placement)

   -둥지를 중심에 두었는가?

 7. 색상(colors)

    -3-4개의 색상을 사용하였는가?

  8. 선의 질(line quality)

    -선은 적절한가? 

  9. 둥지(nest)의 크기

    -여백(대상물)이 1/3 이하인가? 

-개정판에 들어있는 새 요소

10. 아기 새들(baby birds)

    -아기 새들이 들어있는가?

11. 부모 새들(parent birds)

    -부모 새들이 들어있는가?

12. 아기 또는 부모 새들(either baby or parent birds)

    -아기 또는 부모 새들이 들어있는가?

13. 두 부모 새들   (two parent birds)

    -두 부모 새들이 들어있는가?

14. 알들(eggs)

    -(새는 없고) 단지 알들만 들어있는가?

 

BND 애착지표 및 해석 

(우리나라 아동의 그림에서 흔히 나타나는 애착지표 )

1. 아기새 만 있음 : 낮은 하위안정애착 수준

  -부모새가 아기새를 두고 가버린 그림은 중요한 타인들에 의한 지지의 결여를 느낀 것을 무의식적으로 표현

2. 부모새 만 있음 : 하위안전 애착수준

  -부모 혹은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엄격한 통제의 경험에 의해서 지지적 환경의 결여를 무의식적으로 표현

3. 부모새 아기새가 함께 있음 : 상위 안정애착수준

 -부모 혹은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적절한 양육환경 속에서 자라 안정애착을 보임

4. 알들만 있음 : 매우 낮은 하위애착 수준

  -알을 따뜻하게 부화할 부모새가 없는 것은 정서적인 지지가 없는 양육자와 초기생활을 한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냄

5. 둥지가 비워져 있음 : 매우 낮은 하위애착 수준

  -둥지가 비어있는 이미지는 고립(분리)되고 주변이나 지지하는 환경이 없음을 무의식적 으로 표현함

6. 둥지가 나무에 의해 지지 받고 있음 ( 낮은 지지: 낮은 애착 / 높은 지지: 상위애착)

  -나뭇가지 위 둥지그림은 지지적 환경의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낸 것임. 곧 둥지 안 내용물이 쏟아질 것 같은 이미지, 가지가 너무 약해가지가 부서질 것 같은 이미지는 낮은 안정애착수준이다.

7. 공간사용 : 공간 활용이 1/3이상-안정애착

  -그렇지 못했을 때 불안정애착 공간활용은 현재 삶의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우울과 위축되고 희망 없고 사랑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아동은 낮은 안정애착수준이다. 이러한 아동은 여백이 많거나 내용이 단순하다.

8. 선의 질 : 강한선 (공격성 나타냄/ 진한선: 불안을 나타냄 /약한선:자신감 없음, 폐쇄적임)

   -선의 질은 과거의 애착경험에 따른 현재 행동상태를 나타냄. 정서적 지지환경 박탈 경험이 많았던 아동의 선은 매우 강하게 혹은 극도로 약하게 나타남.

   * 매우 약한 선: 부적응적임, 우유부단하고  청하고 두려움이 많음.

   * 불연속적인 스케치 풍: 소심함

9. 둥지의 크기 (작은 둥지 및  과대 둥지(낮은 안정 애착수준 / 적절한 둥지: 높은 안정애착수준)

   -엄격한 양육의 경험을 한 아동은 작은 둥지를 표현하여 환경의 압력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함. 너무 큰 둥지의 그림은 방임 혹은 위협적인 환경의 경험에 의해 힘을 가지고 싶어 하는 무의식적 표현임

(9주 3강)





BND 애착지표 및 해석: 우리나라 아동의 그림에서 흔히 나타나는 애착지표

 

 지표

 안정애착수준

                   해   석

 아기새만 있음

낮은 하위안정애착수준 

 부모새가 아기새를 두고 가버린 그림은 중요한 타인들에 의한 지지의 결여를 느낀 것을 무의식으로 표현.

 부모새만 있음

하위안정 애착수준 

 부모 혹은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엄격한 통제의 경험에 의해서 지지적 환경의 결여를 무의식적으로 표현.

 부모새 아기새 함께 있음

 상위 안정애착수준

 부모 혹은 중요한 타인들로 부터 적절한 양육환경속에서 자라 안전애착을 보임.

 알들만 있음

 매우 낮은 하위 애착수준

 알을 따뜻하게 부화할 부모새가 없는 것은 정서적인 지지가 없는 양육자와 초기생활을 한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냄.

 둥지가 비워져 있음

 매우 낮은 애착수준

 둥지가 비어있는 이미지는 고립(분리)되고 주변이나 지지하는 환경이 없음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함.

 둥지가 나무에 의해 지지 받고 있음

 낮은 지지: 낮은 애착

높은 지지: 상위애착

 나뭇가지위 둥지그림은 지지적인 환경의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낸것임.

곧 둥지안 내용물이 쏟아질것 같은 이미지, 가지가 너무 약해 가지가 부서질것같은 이미지는 낮은 안정애착수준이다.

 공간사용

 공간 활용이 1/3이상일때 안정애착 그렇지 못했을때 불안정 애착

 공간 활용은 현재 삶의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우울과 위축되고 희망없고 사랑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아동은 낮은 애착수준이다 이러한 아동은 여백이 많거나 내용이 단순하다.

 선의 질

 강한 선: 공격성을 나타냄.

진한선:불안을 나타냄.

약한선:자신감 없음,폐쇄적임.

매우 약한선: 부적응 적임, 우유부단하고 두려움이 많음 .

불연속적인 스케치:소심함

 선의 질은 과거의 애착경험에 따른 현재 행동상태를 나타냄 정서적 지지환경 박탈경험이 많았던 아동의 선은 매우 강하게 혹은 극도로 약하게 나타남.

 

 둥지의 크기

 작은 둥지및 과대둥지: 낮은 안정애착수준

적절한 둥지: 높은 안정 애착수준

 엄격한 양육의 경험을 한 아동은 작은 둥지를 표현하여 환경의 압력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함. 너무 큰 둥지의 그림은 방임 혹은 위협적인 환경의 경험에 의해 가지고 싶어하는 무의식적인 표현임.

이미애 (2004). 미술치료가 불안애착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 출처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psychology&no=90151

출처 : 킴스심리연구소
글쓴이 : 김상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