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자유화기법을 통한 아동 심리

찬양한 2012. 8. 29. 14:00

◆채색에 관한 아동 심리

1.빨간색을 좋아하는 아동 

   비교적 자유롭게 느낀 대로 행동하고 반응하는 어린이로서, 신체 기능이 왕성하며 건전한 적응을 표현하고 있다. 색칠하는 필치(touch)가 중요한데, 거칠거나 속도 같은 것에 중점을 둔다. 폭이 넓은 필치로 다른 색 위에 이중으로 거칠게 칠하는 것은 적대감이나 자기 주장의 표현이다. 빨간색이 조화롭고 아름답게 칠해졌을 때는 애정의 표현이다. 거칠고 부조화적이며 난잡하게 칠해졌을 때는 적대감과 공격심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2.파란색을 좋아하는 아동

  여기에는 두 그룹이 있다. 하나는 날카롭고 긴장된 필치로 물감이 엉길 만큼 진한 색으로 표현한다. 이것은 억제된 불안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파란 선으로 형을 깔끔하게 그리는데, 비교적 명랑하고 안정된 성격의 어린이로서 주위에 잘 적응하는 행동을 한다.

 

3.노란색을 좋아하는 아동 

 파란색보다 노란색을 좋아하는 어린이는 공상이 많고 의존적인 행동이 많다. 반면 노란색보다 파란색을 더 많이 쓰는 어린이는 자기억제가 강한 어린이다. 노란색을 강조한다든지 그 위에 파란색을 이중으로 칠하는 것은, 성장의 욕구와 유아기적 상태에 머무르려는 욕구 사이의 갈등의 표시이다. 예컨대 동생이 생겨서 가족에게 자신에 대한 계속적인 애정을 요구하는 마음과 동생에 대한 증오로 갈등을 일으킬 때 이런 표현이 나타난다.

 

4.녹색을 좋아하는 아동

  내성적이고 침작해 감정을 강하게 표현하지 않는 어린이다. 빨간색을 좋아하는 어린이에 비하여 자기 억제가 강하다. 파란색과 녹색을 비교하면, 파란색은 감정의 순화를 뜻하고, 녹색은 감정적 충동이 순화된 조화의 감정이다. 감동의 결여나 회피적 경향이 있기도 하다. 엄격한 가정의 어린이가 녹색을 즐기는 예가 많다.

 

5.검정색을 좋아하는 아동

  정서나 행동에 결함이 있는 것을 표시한다. 자유로운 감정의 흐름이 결여되어 있고 공포와 불안을 가지고, 압박감을 느끼며 고독하다. 파괴적·공격적인 성향이 내재하고 있다.

 

6.주황색을 좋아하는 아동

  주위에 잘 적응하는 사회적 성격의 어린이다. 그러나 개중에는 강한 감정적 표현을 하기가 두려운 심약한 어린이다 그것을 위장하기 위하여 사용할 때도 있다. 또 공상적인 것을 즐기는 아동이 현실생활에서 도피하려는 심리를 반영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차분하기보다는 들뜬 충동적 행동을 하는 수가 많다.

 

7.갈색을 좋아하는 아동

  파란색과 비교하여 갈색이 강한 것은 유아기적 상태에 머무르려는 욕구의 표현이다. 또 더러운 것을 싫어한다. 이 색을 고집해서 쓸 때는 모성애의 결여와 관령이 깊다. 성실·근면한 노작활동의 욕구를 나타내기도 한다.

 

8.보라색을 좋아하는 아동

  이 색을 오래도록 고집하여 쓰는 어린이는 억제된 불행한 심리 상태와 관계가 깊고, 친구를 많이 사귀기를 싫어하며 고독하고 감상적인 태도가 강하다. 몸의 상처나 질병, 심리적 이상 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색채의 위치에 따른 아동 심리

1.이중으로 칠할 때

  밑에 칠한 색은 마음속 본래의 감정을 의미하고, 위에 칠한 색은 행동의 양식을 표시한다. 자기의 참된 정서를 외부에 표현하지 않으려는 이중적 심리이다.

 

2.색을 분리하여 칠할 때

  주위를 외부로 향하여 주위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갈등의 심리성향이다.

 

3.혼색의 경우

  적극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고 자유롭게 자기 감정을 표현하려는 성향이다.

 

4.난잡하게 칠할 때

  언제나 유아다운 감정에 머무르려는 퇴행적 욕구의 표현이다. 또는 반대로 적절한 적응이 결핍된 거친 행동의 반영이다.

 

◆표현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아동 심리

1.크기

  크게 그릴 때는 자신감 있고, 진취적이며 적극적이다. 작게 그릴 때는 열등감, 불안, 자기 통제적이다. 적절한 크기로 그릴 때는 원만하고 이지적이며 조직적이고 주체적이다.

 

2.위치

  중앙에 위치할 때는 주체적·긍정적 행동의 성격이다. 왼쪽으로 치우친 때는 강박적 행동, 자기의 욕구와 충동에 의한 직접적·정서적 만족을 찾는다. 오른쪽으로 치우친 때는 안정적·통제적인 행동을 하며, 때로 욕구와 충동을 서슴지 않고 뒤로 미룬다. 지적 만족을 구하는 내향적 성격이다. 위로 치우친 때는 노력형, 공상형이며 초연하고 지적이다. 아래로 치우친 때는 우울, 침착, 열등감의 표현이다.

출처 : 마음그림가족상담센터
글쓴이 : jaya 원글보기
메모 :